Q1. 기업이 플랫폼에게 잠재고객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공하는건가요??
👨🍳 우리 플랫폼으로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면 플랫폼내에 있는 식당들이 사원에게 노출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회사와 계약 된 식당들 뿐만아니라 일반 식당들도 이용할 계기가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사원들이 고객으로 전환 될 수 있습니다.
Q2. 회사가 많은 곳에서는 식권 발매를 이미 많이들 하고있고, 특히 식권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식권대장이라는 어플리케이션도 이미 상용화되있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A.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B2B서비스는 기존 식권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영업자들을 위해 추가한 기능이며 기존 다른 서비스와 차이점이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다만 CRM을 통해 자영업자들이 기업 고객을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습니다.
Q3. 단골로 다니는 식당이 있을 경우에 대부분 오프라인 계약 즉 현금계산을 선호하는 경우가 더 많을텐데 식당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A. 식당에서는 구독서비스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수입 창출이 가능하며 홍보효과와 더불어 CRM기능으로 효과적으로 고객을 관리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배달의 민족'의 경우 현금 계산으로 얻는 이익은 식당입장에서 줄어들지만 배달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가게 홍보 효과로 대부분의 배달 식당들이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 어플도 현금 계산으로 얻는 이익보다 다른 장점들이 충분하여 많은 식당들이 이용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Q4. 새로운 시장이라 자영업자들이 임의로 구독 가격을 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은데 가격은 식당이 직접 정하는 건가요?
A. 신규등록 식당들을 위해서 데이터를 바탕으로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몇개월 이용을 하게되면 시장원리로 인해 식당 업주 스스로 가격과 서비스를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Q5. 한달동안 같은 식당에서 같은 혜택을 받는 것은 오히려 나중에 질린다는 이유와 같이 가게 이용률을 떨어뜨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런 부분에 대한 대안이 있나요?
A. 하나의 메뉴가 아닌 다양한 메뉴를 한 구독서비스에 넣을 수도 있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CRM서비스를 통해 식당 업주가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 그에 맞는 전략을 짤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Q6. benefits에 소비자들이 더 똑똑하게 소비한다고 써있는데 어떻게 똑똑한 소비를 할 수 있다는 건가요?
A. 한달에 한번씩 결제를 함으로서 통장을 따로 관리 할 수 있으며 가계부 관리가 용이합니다. 이로 인해 매달 지출을 예상하고 계획할 수 있으며 이는 개개인의 가계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Q7. 구독이라는 것은 대부분 월마다 갱신되는경우가 일반적인데 구독권의 가격을 산정할때 손님이나 가게 둘중의 하나는 무조건 손해를 볼수밖에 없는거 아닌가요?
A. 손님은 더 싼가격에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식당은 적은 수입을 달에 많이 판매하는 효과로 인해 더욱 많고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플랫폼을 이용한 식당의 홍보가 가능하여 더욱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